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슈퍼맨 4: 평화를 위한 노력 (1987)

by eodeltm 2025. 4. 6.

🎬 슈퍼맨 4: 평화를 위한 노력 (1987)

 

“모든 핵무기를 없애는 것이 진정한 정의일까?”

 

1987년, 슈퍼맨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그가 싸우는 대상이 단일 악당이 아니라, 인류가 만들어낸 ‘핵무기’ 그 자체입니다.

《슈퍼맨 4: 평화를 위한 노력》은 슈퍼맨 영화 시리즈 중 가장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이며, 냉전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우던 당시 미국 사회에 ‘정의의 히어로가 과연 세계 문제에 어떻게 개입할 수 있을까’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졌습니다.

하지만 완성도 측면에서는 예산 삭감, 편집 오류, 급조된 악당 설정 등으로 인해 시리즈 중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전하고자 한 슈퍼맨의 이상주의는 지금도 의미 있는 메시지로 남습니다.


☢️ 1. 줄거리 요약 – 핵무기를 없애기 위한 영웅의 선언

영화는 세계 각국이 군비 확장을 이어가고, 핵무기 경쟁이 절정에 이른 시점을 배경으로 합니다.

이 와중에 한 소년이 슈퍼맨에게 편지를 보냅니다. “슈퍼맨, 왜 당신은 핵무기를 없애지 않나요?”

이에 깊은 고민에 빠진 슈퍼맨은 세계 각국의 핵무기를 모아 태양으로 날려버리는 대담한 계획을 실행합니다. 전 세계는 그에게 환호하지만, 그 결정은 국제 정세에 커다란 혼란을 야기하죠.

한편, 악당 렉스 루터(진 핵크먼)는 슈퍼맨의 DNA를 이용해 ‘뉴클리어맨’이라는 인공 생명체를 만들어 슈퍼맨에게 도전장을 던집니다.


🧠 2. 슈퍼맨의 고민 – 진짜 정의란 무엇인가

이 영화에서 슈퍼맨은 처음으로 세계 평화를 위한 적극적인 개입자가 됩니다.

1~3편에서는 주로 개인적인 악당에 대응하는 영웅이었지만, 4편에서는 인류가 만든 구조적 문제인 핵무기와 냉전 체제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죠.

그는 고뇌 끝에 “나는 시민으로서 내 의견을 말할 수 있지만, 지구의 지배자가 되려고 하진 않겠다”고 선언하며 자신의 행동이 절대적인 정의가 아님을 인식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이는 슈퍼히어로가 단순히 강력한 힘을 행사하는 존재가 아니라, 윤리적인 기준과 절제를 갖춘 존재여야 함을 보여줍니다.


🧬 3. 뉴클리어맨 – 아쉬운 악당의 탄생

렉스 루터는 슈퍼맨의 머리카락과 핵에너지를 결합해 금빛 머리에 갈고리 손톱, 태양광으로 움직이는 ‘뉴클리어맨’을 창조합니다.

이 캐릭터는 설정상 슈퍼맨과 맞먹는 힘을 가졌지만, 스토리 내 비중이나 설득력 면에서 약하며, 대사도 거의 없습니다.

결국 뉴클리어맨은 슈퍼맨에게 태양빛을 차단당하자 순식간에 무력화되며 마무리되죠.

악당으로서의 긴장감이나 개성 부족은 이 영화의 가장 큰 아쉬움 중 하나입니다.


💸 4. 예산 삭감과 편집의 한계

원래 이 영화는 120분 분량으로 계획되었지만, 제작사인 캐논 필름즈가 예산을 삭감하면서 많은 장면들이 잘려나갔고, 최종 상영시간은 약 90분 수준으로 축소되었습니다.

그 결과, - 액션 시퀀스가 짧고 허술하며 - CG는 전작보다 퀄리티가 낮고 - 스토리 전개는 뜬금없고 급작스럽습니다.

심지어 슈퍼맨이 똑같은 비행 장면을 여러 번 반복해서 쓰는 장면도 발견됩니다.

이 모든 것이 슈퍼맨 영화의 ‘품격’을 무너뜨렸고, 관객들에게 실망감을 안겼죠.


🎭 5. 크리스토퍼 리브의 마지막 슈퍼맨

이 영화는 크리스토퍼 리브가 출연한 마지막 슈퍼맨 영화입니다. 그는 각본에 직접 참여했으며, 핵무기 폐기를 주제로 하는 데 강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비록 영화 자체는 아쉬움이 컸지만, 그가 표현한 슈퍼맨의 진지한 고뇌와 인간성은 끝까지 일관된 감동을 전달합니다.

슈퍼맨이 뉴욕 유엔 총회 앞에서 인류에게 희망과 협력을 촉구하는 마지막 연설은 시리즈의 유종의 미를 장식하는 순간입니다.


✅ 총평 – 실패했지만, 포기하지 않은 슈퍼맨

《슈퍼맨 4》는 많은 면에서 부족한 영화였습니다. 하지만 이 작품은 “슈퍼히어로가 세계 문제에 개입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가장 정면으로 다룬 유일한 슈퍼맨 영화입니다.

이상주의는 때로 실패할 수 있지만, 그것을 꿈꾸는 마음만큼은 여전히 가치 있다는 것을 이 영화는 조용히 말해줍니다.